멸종위기 담비, 청설모 사냥하는 모습 지리산서 포착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담비가 청설모와 하늘다람쥐를 사냥하는 장면을 포착했다고 합니다. 족제비과 포유류인 담비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 종이다. 족제비과로만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담비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확인해 보았습니다.
같이 보시겠습니다~
국립공원 생태계 최상의 포식자, 담비
지리산, 설악산, 속리산 등 전국 내륙 산악지역에 2~3마리씩 무리 지어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쥐, 토끼 등 포유류를 비롯해 새, 나무열매 등 다양한 먹이를 취한다. 과거에는 흔히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산림파괴에 따른 서식 공간 부족으로 개체군이 급감해 드물게 관찰되고 있다.
담비는 어떤 동물?
○ 학 명 : Martes flavigula
○ 분 류 : 척삭동물문 〉포유류강 〉식육목 〉족제비과
○ 형태
성체의 경우 몸통의 길이 59~68cm, 꼬리의 길이 40~45cm, 뒷다리의 길이 10~14cm, 귀의 길이 3.5~5cm이다.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3분의 2 정도이다. 머리, 얼굴, 다리와 꼬리는 검은 갈색이고 귀 뒤로부터 한 줄의 검은 띠가 있다. 등 쪽은 대부분 밝은 갈색으로 꼬리 쪽으로 갈수록 어두운 갈색을 띠고 배 쪽 털은 연한 살구색이다. 목 부분은 밝은 노란색으로 목덜미는 어두운색이며 아래턱은 흰빛을 띤다. 발가락의 다른 면에도 털이 있다.
○ 적색 원이 '담비'인데 WEASEL(족제비), STOAT(담비), FERRET(흰담비), SABLE(흑담비) 입니다. 외모가 비슷하게 생겼네요
○ 분포
국내에는 경기도 광릉, 서울 부근, 중부, 설악산, 속리산, 지리산 등 전국 내륙 산악지대에 분포한다.
해외에는 아시아, 수단, 중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러시아, 타이완, 베트남 등지에도 분포한다.
○ 생태
울창한 침엽수림에서 2~3마리씩 무리 지어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포유류부터 조류, 과실, 도토리 등을 먹는다. 나무를 잘 타고 땅 위를 잘 달리기 때문에 천적을 잘 피하며, 무리 지어 다니면서 자기보다 강한 오소리를 습격하기도 한다. 한반도에 사는 노란목도리담비는 2~6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며 덩치가 더 큰 고라니도 사냥할 수 있다. 항문선에서 나오는 분비물로 자신의 세력권을 표시한다. 짝짓기 시기는 2~3월 및 6~8월이며, 임신 기간은 270~285일 정도이고, 새끼를 평균 2~3마리, 최대 5마리까지 낳는다.
○ 현황
서식지가 주로 산악지대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도 건설, 수종갱신 및 산악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과거에는 한반도 중동부 지역에서 흔히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산림 파괴에 따른 서식 공간 부족으로 남부 지방에서는 개체군이 급감했고, 분포 지역도 감소했다.
모피로 유명, 서식공간 부족으로 개체 점차 줄어
털이 부드러워 세계 각국에서 모피로 많이 이용되었다.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동물로 발해와 중앙아시아 사이의 교역로를 '담비의 길'이라고 부르는 학자도 있다.
출처:농림축산식품부
우리나라 내륙 산악지역에 담비가 여러차례 보였다는 것은 그만큼 아직 우리나라의 야생성이 살아있다는 증거로 보입니다. 담비는 족제비과 인데 수달과 외모는 비슷해 보이네요. 오늘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의 사냥모습을 공유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그림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노무현 11주기 추도식 및 추도사 및 인간적인 일화 (0) | 2020.05.23 |
---|---|
2020 국가장학금 1차 지급일, 2차 지급일(예상)꼭 미리 신청하세요! (1) | 2020.05.23 |
한진택배 배송조회 초간단 2가지 방법 (1) | 2020.05.20 |
적금금리 비교 저축은행이 역시 높다, 금융상품한눈에 보는법 (1) | 2020.05.19 |
518 민주화운동 특별법 개정안 21대 국회 1호 법안으로 발의한다! (0) | 2020.05.19 |